안녕하세요, 애독자 여러분! 오늘은 보험사들의 역대급 실적에도 불구하고 배당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작년에는 수많은 보험사들이 배당을 활발히 진행했지만, 올해는 상당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어서 보험업계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궁금해질 수밖에 없죠.
올해 상장 보험사 11곳 중 단 3곳만이 배당을 발표했는데요, 그 이유는 낮아진 지급여력 비율과 이에 따른 해약환급금 적립 부담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입니다. 지급여력 비율(K-ICS)이 낮아진 것은 보험사들이 자본을 더 늘려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문에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 발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새 회계제도(IFRS17) 도입에 따라 해약환급금이라는 부담이 증가했는데요, 보험사 입장에서는 고객이 계약을 중도에 해지할 경우를 대비해 충분한 준비금을 쌓아야 합니다. 이 과정이 배당 여력을 줄이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킥스비율이 높은 보험사들에게 해약환급금 준비금의 80%만 적립하도록 기준을 완화했으나, 여전히 배당 여력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삼성생명, 삼성화재, DB손보는 여전히 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삼성생명은 8080억 원, 삼성화재는 8077억 원, DB손보는 4083억 원 배당을 결정했습니다. 반면, 다른 보험사들은 추가적인 배당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하네요. 현대해상은 2003년 이후 처음으로 배당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다른 이유는 작년에는 생명보험사들이 경쟁적으로 신규 계약을 확보하면서 환급금 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해약환급금은 약 47조 원으로 급증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보험업계에서는 제도 개선이 없이는 배당 여력이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금융당국이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보험사들이 어떠한 전략으로 이 위기를 극복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여러분의 피드백과 댓글 기다리겠습니다. 언제나처럼 여러분의 의견은 저희 블로그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감사합니다!